투자/주식
관세무풍지대(2)_콘텐츠 & 플랫폼
웰씨유
2025. 4. 15. 13:00
관세 영향이 작고 장기적인 불황이 예측되는 상황에서 콘텐츠 주도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넷플릭스와 스포티파이와 같은 종목들도 월가 추천주로 꼽힙니다. 구독 기반 비즈니스는 일단 관세의 영향을 받지 않고 소비 둔화가 와도 소비자 지출 비중이 작아 상대적으로 유지 가능성이 높습니다. 집에서 넷플릭스를 시청하는 것만큼 저렴한 여가 활동도 없다는 것은 매우 설득력 있는 해석입니다. 저렴한 엔터테인먼트를 제공하는 넷플릭스가 경기가 나빠지는 시기에 더욱 유리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입니다.
스포티파이도 안정적인 구독 모델을 가지고 있다고 보았습니다. 현실적으로 매우 공감가는 부분입니다.
커피를 안사먹더라도? 넷플릭스와 음원 서비스는 구독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기 때문입니다.
월가(미국 월스트리트)**에서는 중국, 유럽 등과의 관세 전쟁 가능성 때문에 관세 영향이 적은 ‘콘텐츠 기업’들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 왜 관세 영향을 덜 받을까?
- 무형자산 중심
- 콘텐츠는 실물 수출이 아닌 디지털 전송 → 관세 부과 어려움
- 스트리밍, 라이선스, 구독 등 플랫폼 중심 수익
- 글로벌화에 유리
- 한 번 제작하면 다국적 플랫폼으로 손쉽게 확장
- 현지 인프라 없이 수익화 가능 (넷플릭스가 대표적)
- 지식재산(IP) 기반
- 인기 IP 하나로 여러 국가에 파생 콘텐츠 판매 가능
- 예: 디즈니의 마블, 스타워즈 → 영화, 게임, 굿즈, 테마파크
🌍 월가가 주목하는 주요 콘텐츠주 + 근거
1. 넷플릭스 (NFLX)
- 강점: 자체 제작 오리지널 콘텐츠, 글로벌 가입자 2.7억 명
- 관세 영향: 없음 (디지털 스트리밍)
- 월가 포인트: "미국 내 광고 포함 플랜 급성장 + 글로벌 현지 콘텐츠 확대"
- 특이 사항: 한국 콘텐츠 투자 확대 중 → K콘텐츠 확장성 수혜 예상
2. 스포티파이 (Spotify, SPOT)
- 비즈니스 모델: 음악·팟캐스트 스트리밍, 유료+광고 수익
- 관세 영향: 전혀 없음 (모든 서비스는 디지털 기반)
- 월가 포인트:
- 2025년까지 마진 확대와 유료 구독자 증가 예상
- 자체 AI DJ, 큐레이션 기능 강화
- 팟캐스트 제작사 인수 및 오리지널 콘텐츠 확대
- 기타: 애플·아마존과의 경쟁력 지속 우위 유지 중
3. 도어대시 (DoorDash, DASH)
- 비즈니스 모델: 음식 및 소비재 배달 플랫폼
- 관세 영향: 낮음 (국내 서비스 중심 + 물리적 무역 없음)
- 월가 포인트:
- 프리미엄 구독제 'DashPass' 성장세 → 안정적 매출
- 중소기업 광고 상품 판매로 광고 매출 증가
- 물류 최적화로 배송 수익성 개선
기타: 미국 내 1위 딜리버리 앱, 지역 확장 계속 중
구독 서비스 기반인 비즈니스 모델들이 관세 영향이 적기 때문에 주목받고 있고, 급격한 성장기와 경기 상승 때 주목받던 기술주들이 매우 위협받으면서 상황은 계속해서 바뀌는 모습입니다.
분류관세 리스크수익 모델성장 가능성
콘텐츠주 (NFLX, DIS, WBD, PARA) | 거의 없음 | 구독, 광고, 라이선스 | 글로벌 진출 + IP 확장 |
디지털 플랫폼 (SPOT, RBLX) | 없음 | 구독, 광고, 인앱 구매 | 사용자 기반 성장 |
배달 플랫폼 (DASH, UBER) | 낮음 | 수수료, 프리미엄 서비스 | 로컬 시장 확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