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닥은 반등 중_AI관련 & 대선 테마주
중소형 테마주들 강세장이다. 대형주들은 주춤한 사이 개별 호재가 있는 업종 장세가 좋다는 얘기다. 아무래도 탄핵 심판 판결이 나오면서 국내 정세는 한시름 놓았다는 분위기도 있고, 대선 관련주에 대한 관심도 크다. 각종 정치, 정책 테마주가 출렁이면서 코스닥에서 업종 장세를 견인하고 있다. 관세 불확실성이 커지는 데도 불구하고 코스피에 비해 대형 수출주 비중이 작고 실적 감소 우려가 덜한데다 개인들이 주도하는 시장이다 보니 외국인 이탈 영향도 적다.

현재 코스닥 시장에서 주목받는 테마인 인공지능(AI), 바이오, 화장품 분야의 대표 종목과 함께, 산업 지원 약속 대선 공약 등이 호재가 된 생성형 AI 및 기계 학습 기반의 주요 종목 등을 살펴 보자.
인공지능(AI) 테마주
- 솔트룩스 (304100)
- 핵심 기술: 대규모 언어모델(LLM) '루시아GPT'를 개발하여, 지식그래프 기반의 사실 검증 및 검색 증강 생성(RAG) 기술을 활용한 생성형 AI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사업 영역: 대화형 AI, 빅데이터 분석, 클라우드 기반 AI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 중입니다.
- 주가 동향: 최근 AI 챗봇 테마의 강세에 힘입어 주가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산업 지원 대선 공약과 맞물려 이 달 들어 87.3% 상승함
- 코난테크놀로지 (402030)
- 핵심 기술: 자연어 처리, 음성 및 영상 분석 등 다양한 AI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딥컨버세이셔널 에이전트, 딥비전, 딥스피치 등 제품군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 바이브컴퍼니 (301300)
- 핵심 기술: 자체 AI 플랫폼 'SOFIA'를 기반으로 AI 분석 및 리포트 자동화 서비스를 제공하며, 정부의 초거대 AI 활용 사업의 공급기업으로 선정되었습니다.
AI -바이오 테마주
- 루닛 (328130)
- 핵심 기술: 의료 영상 분석 AI 솔루션을 개발하여, 최근 한 달간 주가가 76% 상승하는 등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 셀바스 AI (108860)
- 핵심 기술: 의료 분야에 특화된 AI 솔루션을 제공하며, 최근 주가가 34.6% 상승하는 등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딥노이드 (315640)
- 핵심 기술: 의료 영상 분석 및 진단 보조 AI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으며, 최근 주가가 18.6% 상승하는 등 긍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바이오 테마주
.1. 알테오젠 (Alteogen)
- 핵심 기술: 정맥주사(IV) 치료제를 피하주사(SC)로 전환하는 기술 플랫폼인 'ALT-B4'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 기술은 투약 시간을 단축하고 환자의 편의성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 글로벌 협업: 2023년 2월, 글로벌 제약사 MSD(머크)와 'ALT-B4'에 대한 독점 계약을 체결하여 키트루다 SC 제형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 시장 위치: 현재 글로벌 시장에서 미국 할로자임과 알테오젠만이 해당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코스닥 시가총액 상위에 위치한 기업입니다.
2. 펩트론 (Peptron)
- 주요 사업: 펩트론은 펩타이드 기반의 약물 전달 시스템을 개발하는 바이오 기업으로, 지속형 약물 전달 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 기술력: 자체 개발한 약물 전달 플랫폼을 통해 약물의 안정성과 효능을 향상시키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 협업 및 연구: 국내외 제약사와의 협업을 통해 신약 개발 및 상용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다양한 질환에 대한 치료제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3. 에이비엘바이오 (ABL Bio)
- 핵심 기술: 면역항암치료와 퇴행성 뇌질환용 치료약물 개발에 주력하는 바이오텍 연구 기업으로, 뇌혈관장벽(BBB) 셔틀 플랫폼 '그랩바디-B'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 글로벌 협업: 2025년 4월, 영국 제약사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과 '그랩바디-B' 기술을 총 4조 1000억 원 규모로 이전하는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이 계약은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에서 역대 두 번째로 큰 규모입니다.
- 시장 반응: 이러한 기술력과 글로벌 협업을 바탕으로, 에이비엘바이오는 바이오 시장에서 주목받는 기업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화장품 테마주
현재 화장품 테마주는 AI 및 바이오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주목도가 낮지만, 미국에서 관세폭풍으로 한국 선크림 사재기? 등이 거론되면서 화장품은 관세 반사 효과를 보는 종목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선크림 테마주 대표 종목
1. 잉글우드랩 (049550)
- 사업 개요: 미국과 한국에서 화장품 ODM(주문자상표부착생산) 사업을 운영하며, 글로벌 고객사에 선크림을 포함한 다양한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 글로벌 전략: 미국 OTC(일반의약품) 시장에 선크림 제품을 납품하며, 미국 선케어 시장 공략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시장 반응: 글로벌 선케어 시장의 성장과 함께 잉글우드랩의 제품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2. 실리콘투 (222810)
- 사업 개요: K-뷰티 브랜드 제품을 전 세계 160개국에 유통하는 플랫폼 기업으로, '스타일코리안닷컴'을 통해 리테일 및 홀세일 판매를 진행합니다.
- 대표 브랜드: '조선미녀' 브랜드의 '맑은쌀선크림'은 해외에서 누적 판매량 500만 개를 돌파하며 큰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 주가 동향: 2025년 들어 주가가 약 5배 상승하며 코스닥 시가총액 상위권에 진입했습니다.
- 해외 진출: 미국, 네덜란드,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에서 높은 매출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으며, 유럽 32개국과 독점 계약을 체결하여 유럽 시장 확대를 추진 중입니다.
이러한 선크림 관련 종목들의 성장은 글로벌 K-뷰티 시장의 확장과 맞물려 있으며, 특히 미국과 유럽 시장에서의 선크림 수요 증가가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투자 시에는 각 기업의 글로벌 전략과 시장 반응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하지만 몇몇 테마주를 중심으로 최근 코스닥 오름세 중 일부는 구체적인 실적이 없고 테마주의 막연한 호재 상승일 수도 있어 투자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 점도 유의하여 꼼꼼히 따져보아야 한다는 것. 성투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