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주식

1분기 국내 상장지수펀드(ETF) 방산 테마 수익률 및 전망

웰씨유 2025. 4. 2. 20:03

올해 (25년) 1분기 국내 상장지수펀드(ETF)에서 방산 테마가 가장 우수한 수익률을 거뒀습니다. 31일 한국거래소와 코스콤에 따르면 연초 대비 수익률이 가장 높은 ETF는 'PLUS K방산'으로 지난해 말 대비 64.73% 올랐다. PLUS 한화그룹주가 52.83% 'TIGER K방산&우주'가 51.81% 상승하며 뒤를 이었습니다. 

K방산-테마주-수익률-ETF
K방산 테마 수익률

 

이러한 성과는 글로벌 군비 지출 증가와 한국 방산 기업들의 해외 수출 확대에 따른 결과로 분석됩니다. 특히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현대로템, 한국항공우주 등 주요 방산 기업들이 해외에서 대규모 수주를 이어가며 실적을 개선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투자 시에는 단기적인 조정 가능성을 고려하여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또한 각 ETF의 구성 종목과 투자 전략을 면밀히 분석하여 자신의 투자 성향에 맞는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반적으로 한국 방산 테마 ETF는 긍정적인 수익률을 보이고 있으며, 향후 전망도 밝은 편입니다. 하지만 투자에는 항상 리스크가 따르므로 신중한 판단이 필요합니다.

한국 방산 테마 ETF 향후 전망이 밝은 이유

한국 방산 테마 ETF의 전망이 긍정적인 이유는 크게 ① 글로벌 방산 시장의 성장, ② 한국 방산 기업의 경쟁력 강화, ③ 정부 정책 및 투자 확대, ④ 지정학적 리스크 증가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글로벌 방산 시장의 성장

  • 세계 군비 지출 증가: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글로벌 군비 지출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2023년 기준으로 세계 군사비 지출은 약 2조 달러를 초과하며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나토 및 유럽 국가들의 국방 예산 확대: 특히 유럽 국가들이 국방력을 강화하기 위해 한국산 무기 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 중입니다.
  • 신기술 무기 시장 성장: 드론, 미사일 방어 시스템, 인공지능(AI) 기반 전투 체계 등 차세대 방산 기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2. 한국 방산 기업의 경쟁력 강화

  • K-방산의 글로벌 시장 확대: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국항공우주(KAI), 현대로템 등의 기업이 대규모 해외 수출 계약을 잇따라 체결하고 있습니다.
    • 예를 들어, 폴란드에 K2 전차, K9 자주포, FA-50 경공격기 등을 수출하며 방산 수출 강국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 가격 대비 성능 우위:
    • 한국 무기 체계는 미국, 유럽 제품보다 가격 경쟁력이 높고 품질도 뛰어나 해외 바이어들에게 매력적인 선택지가 되고 있습니다.
    • 특히 한화의 방공 시스템(천궁, 비호복합), KAI의 전투기(FA-50), 현대로템의 K2 전차 등이 글로벌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음.
  • 기술력 향상:
    • 우주·항공산업 투자 증가로 한국 방산업체들이 더 정밀한 무기체계를 개발 중이며, 자체 기술력 확보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3. 정부 정책 및 투자 확대

  • 국내 방산 투자 확대: 한국 정부는 2024년 국방예산을 59조 5천억 원으로 책정했으며, 이 중 무기체계 개발 및 방산 R&D에 대한 투자 비중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 국내 방위산업 육성 정책: 방산 기업들이 장기적인 기술 개발을 이어갈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지원 및 세제 혜택이 강화되고 있습니다.
  • 미래 무기 개발 프로젝트: 우주·드론·사이버 전투 등 차세대 국방 분야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습니다.

4. 지정학적 리스크 증가

  •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이 지속되면서 무기 수요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습니다.
  • 중동 및 아시아 지역 긴장 고조: 중국-대만 갈등, 북한의 핵 위협 증가, 이란과 이스라엘 갈등 등으로 인해 세계 각국이 국방력을 강화하는 추세입니다.
  • 북한 및 한반도 안보 불안: 한반도 내 군사적 긴장감이 고조될 경우, 한국 방산 기업들의 수주 기회가 증가할 가능성이 큽니다.

결론

📈 한국 방산 테마 ETF의 전망은 매우 긍정적

  • 글로벌 군비 증가 및 유럽·아시아 시장 확대
  • 한국 방산 기업의 기술력 향상 및 해외 수출 증가
  • 정부의 적극적인 방위산업 육성 정책
  • 지정학적 리스크로 인해 무기 수요 지속 증가

하지만, 방산 산업은 글로벌 정세 변화에 민감하므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정 ETF가 어떤 기업들로 구성되어 있는지 분석하고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