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주식18 조선업 부활 노리는 미국, 반사이익은 한국 조선? 자국의 조선 업계를 부활시키려는 미국? 트럼프는 중국 선박에 대한 입항 수수료를 발표했습니다. 오는 10월부터 미국에 들어오는 중국산 선박은 순톤(t) 당 18달러의 입항 수수료를 내야 합니다. 중국 선박 입항 수수료 부과는 선주사들로 하여금 중국보다는 한국 조선사에 관심을 기울이는 계기가 되고 있습니다. 한화 오션은 지난 12월 국내 최초로 미국 조선소를 인수하며 미국 조선업 부활에 기술을 보태게 됐습니다. 2025년 현재, 미국이 조선업(Shipbuilding) 부활을 추진하는 이유는 복합적인 역사적 배경과 현재의 지정학적·경제적 상황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역사적 배경1. 제2차 세계대전과 미국 조선업의 황금기1940~1945년 사이, 미국은 세계 최대 조선국 중 하나였고, 리버티선(Libert.. 2025. 4. 26. 머스크의 귀환, 말바꾼 트럼프_주가, 비트코인 환호? 머스크가 정치 외도를 마치고 복귀한다는 소식에 주가는 10% 가까이 상승세를 보였다. (머스크의 위력이 새삼 실감;;;)본장 마감 후 (예상대로) 테슬라의 '역대급 어닝 쇼크'가 드러났지만...애프터마켓 주가는 오히려 이날 종가보다 5% 이상 올랐다. 덕분에 테슬라 주가는 6개월 만에 바닥을 찍고 상승세를 탔다. 이어지는 콘퍼런스콜에서 머스크는 역시나 주가에 호재가 될 만한 발언들을 했는데 "5월부터는 정치 참여가 상당히 줄어들 것", "다음 달부터 테슬라에 많은 시간을 쓸 것이다"라고 예고했다.6월 텍사스주 오스틴에서 로보택시 시범운영을 계획대로 실시하겠다고 발표했고 (*로보택시는 운전자 없는 차량 호출 서비스로 현재는 구글의 웨이모가 미국 시장을 독점 중) 또, 올해 안에 '많은 도시에서' 지원하는 .. 2025. 4. 24. 마이너스 성장으로 가는걸까? 트럼프가 관세 유예를 밝혔지만 소위 더티 15가 됐든, 빅 15가 됐든 교역국과의 협상은 순탄하지 않은 모양새입니다. 일단 세계 경제의 다른 축인 중국과 EU는 반미국 경제 동맹 체제로 가자는 입장까지 내세우며 등을 돌리는 형국인데... 미국 역시 누적된 경제 구조의 모순을 (제조업 붕괴, 부채 증가 등) 해결하려는 목적자체가 분명하기 때문에 물러설 수가 없겠죠. 2025년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현실화되면, 단순히 미국 내부 문제가 아니라 글로벌 경제 전반에 큰 파장을 줄 수 있는 구조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약달러 정책과 결합될 경우 그 파장은 더 커질 수 있고, 그게 세계 경제의 마이너스 성장 우려로 이어지는 이유도 명확합니다.💣 트럼프 2기(가정)의 관세정책과 후폭풍 예상1. 관세폭탄.. 2025. 4. 23. 일본 금리 인상은 美국채 뿐 아니라 엔비디아, 애플도 흔드는 손 2025년 일본은행(BOJ)의 금리 정책은 1월 24일 기준금리를 0.25%에서 0.5%로 인상한 이후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습니다. 일본은 마침내 지난 24년 마이너스 금리를 벗어나 현재 17년 만의 최고 수준 금리로, BOJ는 이후 금리를 동결하고 경제 상황을 주시하고 있습니다. .2025년 금리 변동 및 전망현재 금리 수준: 2025년 5월 현재 기준금리는 0.5%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추가 인상 전망: 국제통화기금(IMF)은 BOJ가 2025년에 두 차례, 2026년에 두 차례 추가 금리 인상을 단행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시장 기대: 일부 경제학자들은 2025년 하반기에 추가 금리 인상이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경제 지표 및 정책 배경물가 상승률: 2025년 3월 기준 일본의 근.. 2025. 4. 19. 자동차와 반도체, 어쩌다가 낙폭 과대 업종_(Feat.트럼프) 트럼프발 (최근 Siri가 아닌 도니 Donnie 밈이 돌고 있다...도니는 미국에서만 완전히 제조된 아이폰의 AI 명칭_트럼프 목소리로 더빙됨) 관세 정책 불확실성으로 인해 국내 주식은 자동차와 반도체 대형주들이 낙폭 과대 업종으로 꼽히고 있다. 국내 주식 섹터에서 트럼프 발언에 널뛰기 중인 대형산업은 반도체, 조선, 자동차가 대표적이다. 재미로 보는 Donnie_American made iphones 지난 일주일 트럼프가 오락가락 관세 정책을 쏟아내면서 쌓인 시장 피로감은 이루 말할 수 없다. 상호관세를 유예하고 한 발 물러나더니 또다시 11일 이에 미국 관세국경보호국이 상호관세 부과 품목에서 반도체와 스마트폰을 제외한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13일에는 또 트럼프가 11일에 발표된 것이 관세 예외를.. 2025. 4. 18. 코스닥은 반등 중_AI관련 & 대선 테마주 중소형 테마주들 강세장이다. 대형주들은 주춤한 사이 개별 호재가 있는 업종 장세가 좋다는 얘기다. 아무래도 탄핵 심판 판결이 나오면서 국내 정세는 한시름 놓았다는 분위기도 있고, 대선 관련주에 대한 관심도 크다. 각종 정치, 정책 테마주가 출렁이면서 코스닥에서 업종 장세를 견인하고 있다. 관세 불확실성이 커지는 데도 불구하고 코스피에 비해 대형 수출주 비중이 작고 실적 감소 우려가 덜한데다 개인들이 주도하는 시장이다 보니 외국인 이탈 영향도 적다. 현재 코스닥 시장에서 주목받는 테마인 인공지능(AI), 바이오, 화장품 분야의 대표 종목과 함께, 산업 지원 약속 대선 공약 등이 호재가 된 생성형 AI 및 기계 학습 기반의 주요 종목 등을 살펴 보자. 인공지능(AI) 테마주 솔트룩스 (304100) .. 2025. 4. 17.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