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트럼프9

머스크의 귀환, 말바꾼 트럼프_주가, 비트코인 환호? 머스크가 정치 외도를 마치고 복귀한다는 소식에 주가는 10% 가까이 상승세를 보였다. (머스크의 위력이 새삼 실감;;;)본장 마감 후 (예상대로) 테슬라의 '역대급 어닝 쇼크'가 드러났지만...애프터마켓 주가는 오히려 이날 종가보다 5% 이상 올랐다. 덕분에 테슬라 주가는 6개월 만에 바닥을 찍고 상승세를 탔다. 이어지는 콘퍼런스콜에서 머스크는 역시나 주가에 호재가 될 만한 발언들을 했는데 "5월부터는 정치 참여가 상당히 줄어들 것", "다음 달부터 테슬라에 많은 시간을 쓸 것이다"라고 예고했다.6월 텍사스주 오스틴에서 로보택시 시범운영을 계획대로 실시하겠다고 발표했고 (*로보택시는 운전자 없는 차량 호출 서비스로 현재는 구글의 웨이모가 미국 시장을 독점 중) 또, 올해 안에 '많은 도시에서' 지원하는 .. 2025. 4. 24.
세계경제가 떠 안을 미국발 경제 폭격 지금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나 약달러 유도 움직임을 두고 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죠. 이건 단순한 감정적인 비판이 아니라, 구조적으로 그런 흐름이 실제로 일어나고 있기 때문입니다.트럼프의 개인적인 특성 (과시적, 독단적, 과격함)이 더해져 미국 시민은 물론? 세계가 다 함께 더욱 곤란을 겪게(이미 겪고 있는)될 것이 분명해지고 있습니다. 세계경제가 어떻게 미국의 희생양이 될 상황에 놓였는지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 🌍 왜 "세계 경제로 미국의 폭탄을 떠넘긴다"고 하나?1. 관세 → 글로벌 공급망 혼란미국이 자국 보호를 위해 관세를 부과하면, 기업들은 생산지를 다시 옮기거나 우회 루트를 만들어야 해요.이로 인해 공급망 비용이 증가하고, 물가 불안정이 퍼지게 되죠.특히 개발도상국들은 생산기지로서 타격, 선진.. 2025. 4. 23.
미국이 직면한 진짜 문제는... 2025년 미국의 누적된 경제적 문제1. 제조업의 붕괴 (Rust Belt 문제)1990년대 이후 미국 제조업은 점점 쇠퇴했고, 이는 중산층 몰락, 지역 격차 심화, 정치 양극화로 이어졌죠.트럼프는 2016년, 2020년, 그리고 이번에도 '미국에 공장을 다시 짓자'는 슬로건을 재사용하고 있습니다.: 관련 밈들도 엄청나게 쏟아지고 있습니다...문제는, 단순히 보호관세로는 돌아오지 않는다는 거예요. 기술력, 인건비, 공급망 문제가 복합적이기 때문이죠.재미로 보는 American Factory Meme 2. 국가 부채 폭증팬데믹, 인플레이션 대응, IRA(인플레 감축법) 등으로 인해 미국의 국가 부채는 GDP 대비 120%를 넘어서고 있어요.부채 부담이 커지면 재정 여력이 줄고, 결국 자급자족형 산업체계를 .. 2025. 4. 23.
마이너스 성장으로 가는걸까? 트럼프가 관세 유예를 밝혔지만 소위 더티 15가 됐든, 빅 15가 됐든 교역국과의 협상은 순탄하지 않은 모양새입니다. 일단 세계 경제의 다른 축인 중국과 EU는 반미국 경제 동맹 체제로 가자는 입장까지 내세우며 등을 돌리는 형국인데... 미국 역시 누적된 경제 구조의 모순을 (제조업 붕괴, 부채 증가 등) 해결하려는 목적자체가 분명하기 때문에 물러설 수가 없겠죠. 2025년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현실화되면, 단순히 미국 내부 문제가 아니라 글로벌 경제 전반에 큰 파장을 줄 수 있는 구조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약달러 정책과 결합될 경우 그 파장은 더 커질 수 있고, 그게 세계 경제의 마이너스 성장 우려로 이어지는 이유도 명확합니다.💣 트럼프 2기(가정)의 관세정책과 후폭풍 예상1. 관세폭탄.. 2025. 4. 23.
자동차와 반도체, 어쩌다가 낙폭 과대 업종_(Feat.트럼프) 트럼프발 (최근 Siri가 아닌 도니 Donnie 밈이 돌고 있다...도니는 미국에서만 완전히 제조된 아이폰의 AI 명칭_트럼프 목소리로 더빙됨) 관세 정책 불확실성으로 인해 국내 주식은 자동차와 반도체 대형주들이 낙폭 과대 업종으로 꼽히고 있다. 국내 주식 섹터에서 트럼프 발언에 널뛰기 중인 대형산업은 반도체, 조선, 자동차가 대표적이다. 재미로 보는 Donnie_American made iphones 지난 일주일 트럼프가 오락가락 관세 정책을 쏟아내면서 쌓인 시장 피로감은 이루 말할 수 없다. 상호관세를 유예하고 한 발 물러나더니 또다시 11일 이에 미국 관세국경보호국이 상호관세 부과 품목에서 반도체와 스마트폰을 제외한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13일에는 또 트럼프가 11일에 발표된 것이 관세 예외를.. 2025. 4. 18.
관세무풍지대(2)_콘텐츠 & 플랫폼 관세 영향이 작고 장기적인 불황이 예측되는 상황에서 콘텐츠 주도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넷플릭스와 스포티파이와 같은 종목들도 월가 추천주로 꼽힙니다. 구독 기반 비즈니스는 일단 관세의 영향을 받지 않고 소비 둔화가 와도 소비자 지출 비중이 작아 상대적으로 유지 가능성이 높습니다. 집에서 넷플릭스를 시청하는 것만큼 저렴한 여가 활동도 없다는 것은 매우 설득력 있는 해석입니다. 저렴한 엔터테인먼트를 제공하는 넷플릭스가 경기가 나빠지는 시기에 더욱 유리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입니다. 스포티파이도 안정적인 구독 모델을 가지고 있다고 보았습니다. 현실적으로 매우 공감가는 부분입니다.커피를 안사먹더라도? 넷플릭스와 음원 서비스는 구독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기 때문입니다. 월가(미국 월스트리트)**에서는 중국, 유럽 .. 2025. 4.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