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전쟁과 같은 무역 갈등은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을 높이고, 이에 따라 자산가치(주식, 부동산, 통화 등)의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역사적으로 자산가치 하락은 단순한 손실에 그치지 않고, 사회·정치·경제 전반에 걸쳐 광범위한 후폭풍을 일으켜 왔습니다. 현재 한국의 자산가치는 부동산이 유일하게 안정성을 유지하고 있지만 그마저도 언제 붕괴될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투자자는 항상 경기 낙관론을 가지고 투자를 이어가는 것이 좋지만 현재와 같은 불확실성 속에서는 자산가치 하락이 몰고 올 시나리오에 대해서 그래도 그림을 그리고 있어야 하지 않을까요?
🌍 세계 사례
1. 1930년대 대공황 - 스무트-홀리 관세법
- 배경: 미국이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해 **스무트-홀리 관세법(Smoot-Hawley Tariff Act)**을 시행. 이에 대응해 전 세계가 보복 관세 부과.
- 자산 하락: 세계 무역 급감 → 주가 폭락, 기업 도산, 실업 급증.
- 후폭풍:
- 미국과 유럽 전역에서 은행 파산과 금융 시스템 붕괴.
- 극심한 실업과 빈곤 → 사회 불안.
- 독일 등에서 극우 정치 세력 부상 → 제2차 세계대전 배경 조성.
2. 2018~2019년 미중 무역전쟁
- 배경: 미국(트럼프 정부)이 중국 제품에 고율 관세 부과, 중국도 보복.
- 자산 하락:
- 글로벌 증시 조정, 특히 중국과 아시아 신흥국 주식 및 통화 약세.
- 글로벌 공급망 혼란으로 제조업 투자 위축.
- 후폭풍:
- 글로벌 경기 둔화 가속화.
- 기업들이 생산기지를 재배치하면서 탈중국화(Decoupling) 가속.
- 일부 국가는 이를 기회로 반도체·배터리 산업 유치 시도 (예: 베트남, 인도 등)
🇰🇷 한국 사례
1. 1997년 IMF 외환위기
- 배경: 아시아 금융위기와 한국 기업들의 과잉 차입, 외채 급증.
- 자산 하락:
- 원화 가치 급락, 코스피 반토막, 부동산 가격 급락.
- 대기업 연쇄 부도 → 구조조정.
- 후폭풍:
- 대량 실업과 자영업 붕괴.
- 대기업 중심 산업 구조 강화, 외국 자본 유입 가속.
- 개인 자산가치 회복에 오랜 시간 소요.
- IMF 체제 도입으로 공공·금융 부문 대대적 개혁.
2.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 배경: 미국발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 리먼 브라더스 파산.
- 자산 하락:
- 한국 주식시장 40% 이상 하락, 원화가치 급락.
- 실물 경제 위축, 수출 급감.
- 후폭풍:
- 수출 의존 경제 특성상 성장률 급감.
- 청년 실업 증가, 가계 부채 문제 심화.
- 금리 인하 및 재정 확대정책 등 경기부양책 동원.
💥 자산가치 하락의 전형적 후폭풍 요약
구분영향
금융 | 주가 하락, 통화 약세, 자산 디레버리징 |
실물경제 | 투자 위축, 소비 감소, 생산 둔화 |
사회적 | 실업 증가, 사회 불만 증대, 정치적 불안 |
정치·외교 | 보호무역 심화, 국제 갈등, 정책 포퓰리즘 강화 |
🔍 요즘 상황과의 연결
현재의 관세전쟁과 그로 인한 자산가치 하락은 과거처럼 실물경제 위축, 투자심리 악화, 외환시장 불안 등으로 확산될 수 있으며, 특히 신흥국이나 **수출의존도가 높은 국가(한국 포함)**는 타격이 클 수 있습니다.
수출 의존도가 높고 정치적 긴장도도 높은 한국은 25년 어떻게 보면 최대 위기를 맞이하고 있고, 거기에 사실상 리더십이 부재한 상황인 것을 감안하면 불확실성이 가져오는 불안감은 언제 사라질지 알 수가 없습니다. 25년이 어느 때보다 어려운 한 해가 될 것이라는 것만은 확실해 보입니다.
'이슈&트렌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글로벌 1위 전기차 BYD, 궁금한 점은? (10) | 2025.04.17 |
---|---|
현대차 메타플랜트는 ‘완전 디지털 공장’ (0) | 2025.04.14 |
미중관세 치킨게임_It's tip for tap, '이에는 이' '눈에는 눈' (7) | 2025.04.10 |
인해전술 AI 딥시크, 알리바바 QWEN (0) | 2025.04.10 |
트럼프의 관세와 엔화 환율 (3) | 2025.04.04 |